본문 바로가기

지속가능한 가치창출

지속가능 경영 비전·전략

4대 추진목표

인류를 위한 지속가능터전창조:1>현대건설이 창조하는 새로운 번영의 시대(HDEC PROSPERITY), 2>현대건설이 선도하는 새로운 환경의 시대(HDEC PLANET),3>현대건설이 동행하는 새로운 상생의 시대(HDEC PEOPLE)

12대 추진전략

01

글로벌 경쟁력 강화

현대건설은 차별화된 기술력과 검증된 사업 역량을 기반으로 건설 전 영역을 아우르는 Total Solution Creator로 거듭나 미래시장을 주도해 나가고자 합니다.
02

핵심기술·서비스 혁신

현대건설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핵심기술 확보에 주력함으로써 고객중심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노력합니다.
03

기후변화 대응

현대건설은 미래사업 전략과 연계한 친환경·저탄소 중심으로 사업을 전환해 기후변화에 대응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업계 최고 수준의 기후변화 대응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04

친환경 건설 실현

현대건설은 스마트 건설기술을 기반으로 친환경 건설 프로세스를 구축하여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고 시공 효율성을 향상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05

혁신 인재 육성

현대건설은 혁신인재 육성을 통해 조직의 효율성과 실행력을 향상함으로써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06

밸류체인 역량 강화

현대건설은 협력사의 사업 역량과 경영 안정성 향상을 촉진하고 지속가능 공급망 관리체계 운영을 통해 밸류체인 경쟁력을 효과적으로 강화하고 있습니다.
07

안전·보건 이행력 제고

현대건설은 ‘안전’을 기업 경영의 최우선 가치로 삼고 체계적인 인프라와 시스템 구축을 통해 안전문화 정착 및 이행력 제고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08

전략적 사회공헌 추진

국민과 함께 성장해온 현대건설은 글로벌 건설사로서 전략적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와 함께 상생하고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09

지배구조 건전성 확립

현대건설은 이사회 독립성, 경영 전문성, 이해관계자 가치 제고의 3대 원칙을 토대로 건전하고 투명한 지배구조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10

준법·윤리경영 내재화

현대건설은 임직원은 물론 계열사, 협력사, 사업 파트너에 이르기까지 준법·윤리경영을 강화함으로써 윤리적 경영활동과 공정거래 준수를 통해 이해관계자와의 신뢰 관계를 구축해나가고 있습니다.
11

선제적 리스크 관리

현대건설은 선제적인 리스크 관리는 통해 사업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며 장기 전략 리스크 분석을 토대로 신규 비즈니스 기회를 발굴하고 있습니다.
12

밸류체인 인권 보호

현대건설은 최고 수준의 인권 경영 기준을 수립하여 모든 이해관계자의 인권 존중 및 보호 책임을 설정하고 있으며, 사업 수행 국가의 인권 관련 법규를 준수하고 있습니다.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DJSI) 평가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DJSI World
(리더)
World World
(리더)
World
(리더)
World
  • DJSI Industry Leader : 11년,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18년, 20년, 21년 (총 누적 9회)
  • DJSI World :13년 연속
  • DJSI Asia-Pacific : 13년 연속
  • DJSI Korea : 14년 연속

현대건설은 S&P다우존스인덱스(S&P Dow Jones Indices)가 주관하는 다우존스지속가능경영지수(DJSI) 평가에서 11년,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18년, 20년, 21년 건설산업 월드 리더로 선정되었습니다. 2009년 DJSI Korea, 2010년 DJSI World, DJSI Asia-Pacific 편입 이후 13년 연속 유지하고 있어 지속적인 제도개선과 지속가능경영 활동의 성과를 인정 받았습니다.

한국ESG기준원(KCGS) 평가

총 7개 (S / A+ / A / B+ / B / C / D) 평가등급 체계이며,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환경, 사회, 지배구조 모범규준에서 제시한 체계를 적절히 갖추고 있음 (우수한 지속가능경영 체제 구축으로 주주가치 훼손 여지가 적음)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종합등급 A A A A A
환경 A A A+ A A
사회 A A A A A
지배구조 B+ B+ A A B+

모건스탠리캐피탈인터내셔널(MSCI) ESG Rating 평가

MSCI ESG Rating은 신용평가등급과 동일한 형태의 7단계로 구성되어 있음(AAA~CCC)
※ MSCI ACWI(All Country World Index) 구성 종목을 기본 평가 대상으로 함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ESG Rating B BB BBB

해외 기업지배구조(ISS) 평가

점수가 낮을수록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거버넌스 체계와 낮은 리스크를 지녔다고 평가함
구분 2017년 3월 2018년 5월 2019년 11월 2023년 2월
ISS 기업지배구조 점수 3 3 4 3
지배구조 4 4 5 3
보상 2 2 2 1
주주권리 3 1 1 5
감사 1 5 1 5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 평가

CDP 평가는 환경부문 가장 공신력 있는 글로벌 지속가능성 지수로 매년 글로벌 주요 상장 기업의 기후변화대응 활동을 평가·분석·보고하고 있습니다.

CDP Korea 명예의 전당 등극(18년~22년 5년 연속), 탄소경영 아너스 클럽 수상(전체 1위, 14년~18년 5년 연속)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CDP 등급 A A- A A- A-

CRRA 수상

  • CRReporting Award'12 - Best integrated report, 1st Runner-up
  • CRReporting Award'11 - Best 1st time report, 2nd Runner-up

CRRA(Corporate Register Reporting Awards)는 전세계에서 발간되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만을 전문적으로 평가하는 국제 수상으로 전세계 3만 7천여 명의 온라인 투표를 통해 공정하게 진행됩니다.

유엔글로벌콤팩트(UNGC) 가입

유엔글로벌콤팩트(UNGC)는 지난 2000년 코피 아난 전 UN 사무총장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지지와 이행을 촉구하기 위해 만들어진 국제협약입니다. 현대건설은 2010년 4월 국내 업계 최초로 UNGC에 공식 가입하여 명실공히 글로벌 사회적 책임기업으로 거듭나게 되었습니다. 또한 현대건설은 OECD 다국적기업 가이드라인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사회적 기업으로서의 책임을 다하고 있습니다.

인권
원칙1 : 기업은 국제적으로 선언된 인권 보호를 지지하고 존중한다
원칙2 : 기업은 인권 침해에 연루되지 않도록 적극 조력한다
노동
원칙3 : 기업은 결사의 자유와 단체교섭권의 실질적인 인정을 지지한다
원칙4 : 기업은 모든 형태의 강제노동을 배제한다
원칙5 : 기업은 아동노동을 효율적으로 철폐한다
원칙6 : 기업은 고용 및 업무에서 차별을 철폐한다
환경
원칙7 : 기업은 환경문제에 대한 예방적 접근을 지지한다
원칙8 : 기업은 환경적 책임을 증진하는 조치를 수행한다
원칙9 : 기업은 환경친화적 기술의 개발과 확산을 촉진한다
반부패
원칙10 : 기업은 부당 취득 및 뇌물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태의 부패에 반대한다

기후변화 재무정보공개 협의체(TCFD) 지지 선언

TCFD는 2017년 금융안정위원회(FSB)에서 기업의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공개를 위해 제시한 공시 프레임 워크이며, ISSB 등 다양한 공시 표준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현대건설은 2022년 8월 TCFD에 대한 지지를 선언하고 TCFD 공시 표준에 맞춰 기후변화 관련 정보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거버넌스
ㆍ 이사회의 감독 활동
ㆍ 경영진의 평가 및 관리 활동
전략
ㆍ 기후 위험 및 기회 정의
ㆍ 기후변화의 사업·전략·재무적 영향
ㆍ 기후 시나리오별 조직 전략의 탄력성
리스크 관리
ㆍ 기후 리스크 식별 및 평가 프로세스
ㆍ 기후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
ㆍ 전사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 통합 방식
반부패
ㆍ 기후 리스크 평가 시 사용되는 지표
ㆍ 온실가스 배출량 및 관련 위험 관리
ㆍ 온실가스 감축 목표 등 성과 관리 항목

과학 기반 감축 목표 이니셔티브(SBTi) 지지 선언

SBTi는 파리협정 목표에 부합하는 과학 기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수립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 기업의 감축 목표를 검증하는 자발적인 이니셔티브입니다. 현대건설은 2022년 12월 SBTi 지지를 선언했으며, 이후 절차에 따라 SBTi에 가입할 계획입니다.

과학 기반 감축 목표 이니셔티브(SBTi) 그래프

※ SBTi Corporate Net-Zero Standard

2022 World Benchmarking Alliance – Nature Benchmark 평가

  • 국내 기업 전체 1위, 건설 부문 세계 3위

2023 World Benchmarking Alliance – Building Benchmark 평가

  • 건설 부문 세계 3위, 전체 14위 (대상 업종: 건설, 부동산 개발, 자산 관리)

2022 한국표준협회 지속가능성지수(KSI)

  • 종합건설산업 1위 (2년 연속)

2022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기존 발간된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회사소개 메뉴의 자료실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탈석탄 선언 이행

신규 석탄 사업 전면 배제
2021년 1월 22일 이사회 심의와 결의를 통해 향후 모든 신규 석탄 사업에 참여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 지속가능경영보고서 통해 선언문 전문 대외 공시, 내부 이해관계자에 대한 전사 메시지 전달
석탄 발전 플랜트 주공종 사업 뿐만 아닌 제반 인프라 시설공사인 부공종 사업까지 포괄적으로 신규 수주를 중단 합니다.
- 베트남 꽝짝 패키지2 (주공종), 방글라데시 마타바리 2단계 (부공종) 등 입찰 진행 예정 공사 미참여
신재생·친환경 사업
포트폴리오 확대
2021년 1월, 에너지사업부 석탄화력발전 영업 조직을 전면 개편했습니다.
- 신재생 영업1ㆍ2팀 신설, 연료전지, 풍력 사업 추진 R&R 추가
신재생 에너지 및 친환경 사업 등 신성장 사업 추진을 포함한 ‘현대건설 2030 미래 전략’을 수립 및 실행해 나가고 있습니다.
- 수소 플랜트/해상풍력발전/CCUS 등 에너지 전환 및 재생에너지 PPA 중개거래 사업 진출
친환경 투자 및 사회 환원
2025년 이전 ESG 채권을 발행해 친환경 사업 투자를 확대 추진할 예정입니다.
- 녹색분류체계 기준(EU, 한국), 외부 신용평가기관 등 제3자 인증 기준 검토
* ESG 채권 발행 시점은 시장 환경에 따라 검토 및 추진 예정
국내외 안전·환경 관련 사회공헌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 추진하겠습니다.
- 현대건설-서울시 사회복지분야 에너지 효율 개선사업 (H-그린세이빙),
- 임직원 참여 환경 캠페인 추진 (그린 마일리지 도입 등)
환경경영 추진 확대
2022년 10월, 현대건설 2045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탄소중립 비전을 담은 보고서 'Global Green One Pioneer: Net Zero by 2045'를 발간하였습니다
- 온실가스 관리체계 고도화, 현장 내 감축 수단 검토, 저탄소 포트폴리오 연계 감축 시나리오
ESG 환경경영 관련 정보공개를 지속적으로 실천하겠습니다.
- 지속가능 제품 매출 정보, TCFD/WEF 기준 보고 강화, 용수 사용량 및 생물다양성 정보공개 확대 (2022년 지속)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중장기 전략 및 로드맵 수립에 착수했습니다.

지속가능경영 주요 정책

  • 환경경영 정책
    현대건설은 환경 친화적 경영을 통해 환경 성과를 지속적으로 개선함과 동시에 사업활동 및 가치사슬 전반의 부정적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본 환경 정책을 제정합니다.
  • 생물다양성 보호 정책
    현대건설은 사업을 영위하는 모든 국가/지역에서 책임있고, 지속가능한 경영을 실현하고자 생물다양성 정책을 제정하고, 이를 통하여 사업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인 환경영향을 사전에 예방하고 이해관계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한 기업활동을 실천하고자 합니다.
  • 산림파괴 예방 정책
    현대건설은 사업을 영위하는 모든 국가/지역에서 책임있고, 지속가능한 경영을 실현하고자 산림파괴 예방 정책을 제정하고, 이를 통하여 사업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인 환경영향을 사전에 예방하고 이해관계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한 기업활동을 실천하고자 합니다.
  • 다양성 포용 (D&I) 정책
    현대건설은 다양한 인재가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사고를 겸비할 수 있는 조직문화를 조성하며, 포용적인 사회로 전환에 기여하고자 다양성포용(D&I) 정책을 제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