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챗GPT, Gemini, 딥시크... 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을 생성형 AI 기술들. 이런 AI 기술이나 인터넷이 서비스되려면 데이터센터가 필수적이라는 사실을 아시나요? 컴퓨팅 시스템과 통신 장비를 통해 방대한 데이터를 융합하는 데이터센터는 생성형 AI와 클라우드 전환을 바탕으로, IT 시장은 물론 건설업계의 새로운 트렌드가 되었습니다. 풍부한 경험과 혁신 기술로 데이터센터 건설분야에서 선도적 입지를 굳혀 나가고 있는 현대건설을 만나봅니다.
도움. 건축국내사업팀 강한웅 팀장∙강민구 책임매니저∙김효진 책임매니저
데이터센터의 강자, 현대건설
데이터센터(Data Center)는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특수 설계 건축물로, 클라우드와 인터넷 서비스를 위해 꼭 필요한 존재입니다. AI(인공지능)와 로봇 그리고 빅데이터 활용이 기업의 경쟁력을 가늠하는 척도가 되면서 데이터센터의 역할은 매우 커졌는데요. 세계적인 클라우드 기업인 아마존웹서비스(AWS)와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등이 하이퍼스케일(Hyperscale) 데이터센터*를 만들기 위해 천문학적 비용을 들이고 있는 것만 봐도 알 수 있죠. 최근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내놓은 가성비 AI 모델 ‘딥시크-R1’의 등장으로 전 세계 IT 시장이 출렁이는 상황 속에서 데이터센터에 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딥시크-R1과 같은 저비용·고성능 오픈소스 모델을 다양한 기업에서 활용하게 되면 장기적으로는 데이터센터에 대한 수요 및 투자가 오히려 늘어날 것이라는 게 일부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최소 10만 대 이상의 서버를 운영하는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의미하며, 유기적인 구조를 지녔습니다.
특히 한국은 데이터센터의 핵심 시장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중국, 일본, 동남아를 잇는 지리학적 이점과 더불어, 첨단 네트워크 인프라의 발달 및 저렴한 산업용 전기료 같은 이점을 바탕으로 AWS, MS, 오라클과 같은 글로벌 클라우드 사업자들이 하나 둘 진출하고 있죠. 2004년 금융결제원 분당IT센터를 시작으로 데이터센터 시장에 발을 내딛은 현대건설 역시 국내 굴지의 공공·금융·ICT* 기업 및 글로벌 기업의 데이터센터를 수주해오며 새로운 역사를 써 내려가고 있습니다.
*정보기술(IT)에 통신 기술을 더한 개념으로, 정보를 수집∙생산∙가공∙보존∙전달∙활용하는 모든 방법을 포괄합니다.
[ 2025년 완공 예정인 용인 죽전 퍼시픽써니 데이터센터. ]
데이터센터 구축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점은 ‘데이터센터가 어떠한 상황 속에서도 24시간 원활히 운영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선 자연재해와 화재는 물론 과열로 인한 시스템 이상으로 가동이 중단되지 않도록 해야 하죠. 현대건설은 데이터센터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전력 공급, 통신 연결, 온·습도 유지, 냉각, 보안 등 전 영역에 걸친 세밀한 설계·시공을 하고 있습니다. 내진∙면진 설계 등을 통해 지진, 태풍 등 예측할 수 없는 일에 항시 대비하는 것은 물론, 불가피한 상황으로 전력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보조 전력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소중한 데이터가 백업될 수 있도록 철저한 사전 대비책과 시스템 완비에 노력을 쏟고 있습니다.
[ KB국민은행 통합IT센터에 적용되었던 면진 장치. 데이터센터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로, 규모 8.0의 강진에도 거뜬히 버팁니다. ]
최근에는 서버 장애의 원인이 되는 데이터센터 내 발열을 잡기 위한 효율적인 냉각 시스템 적용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데요. 현대건설이 지은 네이버 데이터센터 각 세종은 태양광과 바람 등 자연 에너지를 활용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낮춘 친환경 냉각 시스템을 선보여 주목을 받은 바 있습니다. 현대건설은 다양한 혁신 기술을 개발하며, 데이터센터의 안정적 운영과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현대건설 데이터센터 포트폴리오
생성형 AI의 출현이 불러온 데이터센터에 대한 관심은 상업용 부동산 트렌드에도 막대한 영향을 주었습니다. 데이터센터는 전통적인 주택 사업보다 수익성이 높고, 단순 시공에서 직접 투자를 통한 개발로 보폭을 넓히며 사업을 다각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건설업계가 데이터센터를 미래 먹거리로 낙점하면서 수주 경쟁이 치열한데요. 시장은 커졌지만 사업자의 요구에 따라 설계 변동 등의 변수가 많고, 일반적인 상업용 건축물보다 높은 기술적 요구를 충족해야 하므로 데이터센터를 향한 진입 장벽은 여전히 높습니다.
현대건설은 축적된 노하우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 건설사 중 최다 데이터센터 수행 실적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클라우드 사업자들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킴으로써 EPC(Engineering, Procurement, Construction) 수주 역량을 갖추고 있는 것은 물론, 표준화를 통해 프로젝트 공정을 최적화한 ‘프로세스 매핑(Processing Mapping)’ 기법을 통해 다양한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 현대건설이 지은 데이터센터 주요 실적 ]
토탈 솔루션 프로바이더, 현대건설
현대건설은 네이버 데이터센터 각 세종,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정부통합전산센터, NH통합 IT센터 등 안전성과 보안성을 요하는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센터를 건설한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 글로벌 클라우드 기업의 데이터센터와 국내 최대 망중립 데이터센터(용인 죽전 퍼시픽써니 데이터센터)를 건설하고 있습니다. 지난 11월에는 향후 시화 국가산업단지 고도화의 일원인 안산 성곡동 데이터센터(6,000억 원 규모)의 시공사로 선정되기도 했죠.
현대건설은 이 같은 글로벌 스탠다드 커미셔닝* 노하우로 수주·설계·시공에 유연하게 대응해 나가는 것은 물론, 차별화된 기술력을 앞세워 데이터센터 사업을 국내에서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국외로 확대할 예정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데이터센터 관련 붐이 일고 있는 만큼 철저한 준비를 바탕으로 데이터센터 분야의 토털 솔루션 프로바이더이자 글로벌 건설 리더로 나아갈 것입니다.
* Commissioning: 설계부터 공사 완료까지 철저한 관리와 검증을 통해 시스템 성능을 최적화하는 품질 보증 과정.